[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올해 ‘ > 견적문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견적문의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올해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조회 14회 작성일 25-05-19 08:32

본문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올해 ‘맵(MEP)’의 성공적 안착, ‘탱글’을 통한 식물성 단백질 시장 공략 등 그룹의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글로벌 브랜드 사업 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의 이 같은 선언은 삼양식품이 ‘불닭볶음면’의 성공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나섰음을 보여준다. 실제 삼양식품은 제2의 불닭볶음면을 탄생시키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불닭볶음면’과 함께 매운 국물라면 브랜드 ‘맵’, 건면 파스타 브랜드 ‘탱글(Tangle)’을 삼각축으로 글로벌 라면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매운 맛’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삼양식품이 이제는 ‘건강한 맛’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또 한 번의 성공 신화를 쓸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양식품은 수출 전용 브랜드였던 ‘탱글’을 국내외 통합 브랜드로 리뉴얼하고 제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탱글’은 간편식 선호와 건강 중시 트렌드를 반영해, 삼양식품만의 제조 공법으로 만든 건면에 병아리콩을 더해 단백질과 식이섬유 함량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토마토, 오일, 크림 등 대중적인 소스를 기본으로, 각 소스에 어울리는 재료를 활용해 완성도 높은 파스타를 구현했다. 삼양식품은 ‘탱글’을 글로벌 단백질 식품 및 간편식 트렌드를 이끄는 메가 브랜드로 키운다는 방침이다.‘맵’은 한국의 매운맛에 이국적인 맛을 접목시켜 K푸드의 매운맛을 다채롭게 변주한 브랜드다. 작년 11월 태국에서 처음 론칭한 후 수출국과 제품 라인업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하지만 ‘탱글’과 ‘맵’·‘맵탱’(매운 국물라면 국내 브랜드)의 실적은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탱글과 맵은 신생 브랜드로 아직 이렇다할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신성장 동력으로 적극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삼양식품은 탱글(해외), 쿠티크(국내)로 이원화됐던 건면 파스타 브랜드를 ‘탱글’로 통합하며 재도약을 노리고 있고, ‘맵’ 역시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삼양식품이 지속가능한 성장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종합식품기업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삼양식품의 매출 중 92%가 면 제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2일 서울 시내 한 거리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이준석 대통령 후보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 사진=뉴스1 김진환 기자 /사진=(서울=뉴스1) 김진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모두 검찰, 사법부, 공수처 등 국가권력 기관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10대 공약 중 하나로 내세웠다. 현재 각 권력기관의 기능과 역할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추진 방향은 극명하게 엇갈린다. 이 후보는 검찰의 수사와 기소를 분리해 개혁을 완성하고 대법관의 정원을 확대해 사법 개혁도 완수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반면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는 나란히 '공수처 폐지' 등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김문수 후보는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폐지와 사법 방해죄 신설을 약속했는데, 사실상 이재명 후보를 겨냥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 이재명 "내란 극복하고 사법·검찰개혁 완수"━ 지난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된 각 후보의 대선 10대 공약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내란극복과 K-민주주의 위상 회복으로 민주주의 강국을 만들겠다'를 '10대 정책공약' 2순위로 내걸었다. 내란극복과 국민통합, 민주주의 회복을 목표로 한 공약이라는 게 민주당의 설명이다. 세부 이행방안으로는 먼저 대통령 계엄권한에 대한 민주적 통제 강화를 위해 계엄선포시 국회의 계엄해제권 행사에 대한 제도적 보장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방문민화 및 군정보기관 개혁과 3군 참모총장에 대한 인사청문회 도입, 각 군 이기주의 극복 등으로 국민에 봉사하는 군으로의 체질 개선도 넣었다. 윤석열 정부에서 벌어진 12·3 비상계엄 사태의 재발을 막기위한 조치로 풀이된다.인권위원회의 정상화도 약속했다. 인권위원장 등을 선출시 국민적 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권위원장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대표이사 : 김종득    주소(본사)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이선리 366-3 (도로명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외선길 51)   TEL : 070.4157.6954    FAX : 031.762.6954
구미사업부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282-89 (도로명 : 경북 구미시 1공단로 4길 26-29 (공단동))   TEL : 054.461.5990    FAX : 054.461.5991
COPYRIGHT(C) 2016 써니텍.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