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변과 단절된 채 고립돼 숨지는 고독사는 매년 하루 10명 꼴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1인 가구가 늘어나는 데다 급속한 고령화가 맞물린 결과인데요. 초고령 사회 연중 기획보도, 오늘은 고령층 고독사 문제 짚어보겠습니다. 장훈경 기자입니다. <기자> 언제 음식을 해 먹었는지 모를 부엌, 아무렇게나 널브러진 옷가지. 이 집에 살던 60대 남성은 지난해 홀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다른 고독사 현장들도 비슷한데, 생을 마감한 뒤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청소업체 대표 : 이게 오래되다 보니까 말라 비틀어져서 무슨 음식이었는지도 모르는…. 대부분 현장은 이렇게 옷이 별로 없어요.] 고독사 현장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고 합니다. [청소업체 대표 : 술병들이 많아요. 주로 외로운 사람들은 술에 의지를 하니까. 또 하나는 테이블 위에 약봉지만 또 쌓여있어…. (집에) 온기가 없는….] 고독사는 매년 3천600건 정도씩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하루 10명꼴입니다. 절반 이상은 60대 이상 노인들입니다. 고독사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줄곧 50대였는데, 3년 전부턴 60대로 바뀌었습니다. 갤럽의 세계여론조사에서 50세 이상 한국인의 39.1%는 어려울 때 도움받을 곳이 '없다'고 답했는데, OECD 국가 평균의 3배가 넘습니다. [고립 경험 60대 남성 : 빠져나갈 생각 자체를 못했죠. 5년 가까이 (고립) 생활한 것 같아요. 자존심이 아직 남아 있는 건지는 몰라도 어쨌든 사람이 싫은 거예요.] 초고령화 속 1인 가구가 늘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고독사 예방에도 힘을 쏟고 있습니다. 복지사와 활동가가 일일이 발로 뛰며 고립 은둔 가구들의 안부를 챙기지만 대면 자체를 거부하는 게 큰 어려움입니다. [복지사 : 안에서 들리시죠? 물품 가져다 놨으니까 맛있게 드세요.] [재고립 남성 : 예, 고맙습니다.] [복지사 : 근데 오늘은 목소리에 좀 기운이 있으세요.] [재고립 남성 : 약 때문에 그래도 좀 산 것 같아요.] [정수진/마천복지관 사회복지사 : (때로는) 본인이 고립되었고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지도 모"한국의 산불은 대형화, 연중화, 전국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젠 산불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합니다. 먼저 숲을 베어야 하고, 현행 입산통제 정책도 이런 식이면 그냥 풀 곳은 푸는 것이 낫습니다."지난 2월 한국산불학회 2대 회장으로 취임한 고기연 회장은 우리나라 산불이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산불이 한 번 발생하면 큰 지역에 피해를 끼치며, 예전에는 높새바람이 부는 강원 영동지방에 피해가 집중되는 편이었지만 지금은 전국 곳곳에서 큰 산불이 나는 추세라고 했다.그래서 산불방지 입산통제도 점점 빡빡해지고 있다. 지난해에는 설악산국립공원이 2주 앞당겨 봄철 산불방지 입산통제를 실시한 바 있고, 올해는 산림청에서 '1월 24일부터 5월 15일까지 입산통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전체 산림의 29%, 등산로는 전체 24%인 7,598km의 출입이 금지됐다.산꾼들은 산불방지를 위한 목적이라니 당연히 입산통제 조치를 따른다. 하지만 최근 현 입산통제 정책의 효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 입산통제 기간과 구역이 실제 산불발생 위험이 높은 곳과 때와 일치하는지, 입산자 실화가 모두 등산자 실화인지 등의 지적이다.한국의 산불,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이며 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고기연 회장에게 더 자세하게 들어봤다. 2019년 강원도 고성 산불. 바람이 빨라 최초 발화지점에서 7.7km 떨어진 해안까지 산불이 확산되는 데 채 90분도 걸리지 않았다. 사진 조선일보DB.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지난 2월 18일 한국산불학회 회장으로 선임돼 활동하고 있는 고기연입니다. 전에는 산림청에서 2개월 모자란 30년을 근무했네요. 1995년에 첫 업무가 산불교관이었습니다. 공무원 진화대를 편성하고 교육했죠. 그 이후로도 산불 관련 정책 업무를 했습니다. 현장과 정책을 모두 오갔죠. 마지막으로 산림항공본부에서 항공본부장을 했습니다. 산림청 출신으로 현직자를 모두 포함해도 산불과 관련해 저만큼 업무를 많이 한 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지난 30년간 산불 대응은 어떻게 바뀌었